효율 올리고 매출 높이는 다크 스토어의 활약



효율 올리고 매출 높이는
다크 스토어의 활약

비대면 및 온라인 쇼핑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유통업계 역시 폭증하는 온라인 소요에 다양한 형태로 대응하고 있다.
그 중 단연 돋보이는 현상은 ‘다크 스토어(dark store)’인데, 오프라인 매장 일부를
온라인 배송을 위한 전용공간이자 배송거점으로 활용해 재고 보관비용을 줄이면서도 배송은 더욱 빠르게 하는 것이다.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확장세가 다채롭게 펼쳐져 더욱 흥미로운 다크 스토어에 대해 살펴보자.
글. 편집실

다크 스토어가 빠른 시간 내 트렌드가 된 이유


다크 스토어는 무척 생소한 단어지만 유통시장에서 빠르게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고객이 온라인으로 주문한 상품을 빠른 시간 안에 받을 수 있도록 운영하는 물류거점을 뜻하는 다크 스토어는 배송 전용 매장이라 생각하면 쉽다.

이렇게 다크 스토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요인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코로나19가 불붙이고, 온라인 쇼핑이 폭발시켰다’라고 정리할 수 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온라인 유통 비중이 전례 없이 커지자 유통업계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대적인 수술을 가할 수밖에 없었다. 사람들로 북적이던 오프라인 매장은 점점 한산해지고, 온라인 주문은 폭발적으로 늘어 기존 물류센터 중심의 배송에 큰 부담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렇게 온라인으로 쏠림현상이 가속화되다 보니 온라인 주문물량을 감당하기 위한 물류창고 확장이 필요해진 반면, 막대한 운영비가 드는 대형 점포들은 엄청난 적자의 늪에 빠졌다.

이에 유통업계는 대형 매장들을 대거 폐점하거나 오프라인 매장의 면적 자체를 줄이는 대신 그 자리를 온라인 배송을 위한 일종의 지역형 물류창고로 쓰고 있다. 뛰어난 접근성이 강점이었던 오프라인 매장을 배송의 전진기지격으로 전용한 공간이 다크 스토어인 것이다. 그 덕에 물류센터 추가 설립비용은 줄이고, 소비자 접근성이 큰 입지 덕분에 배송시간은 단축하며, 폭발하는 온라인 수요에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됐다.

같은 듯 다른 국내 다크 스토어의 차별화 전략


국내 다크 스토어는 미국, 영국, 일본 등 세계적인 유통업계의 트렌드 일부를 국내 실정에 맞게 차용하거나 변형한 것이다. 국내 대형 유통사들은 온라인 주문량이 많은 지역에 위치한 매장을 우선적으로 다크스토어로 활용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반면, 각기 다른 차별화 전략을 통해 새로운 트렌드 선두를 선점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SSG닷컴의 PP센터, 롯데마트의 세미 다크 스토어, 홈플러스의 풀필먼트센터가 대표적이다.

우선 SSG닷컴은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와 고르고(pick) 포장(pack)하는 이른바 ‘PP센터’를 함께 운영하는 투트랙 전략을 쓰고 있다. 온라인몰 SSG닷컴의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인 ‘네오’가 있긴 하지만 3곳에 불과해 폭발하는 온라인 수요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SSG닷컴은 당일배송인 쓱배송 물량을 늘리기 위해 전국 이마트 매장 내 PP센터를 설치하고 있다. 네오는 새벽배송을, PP센터는 당일배송을 위한 거점으로 활용하려는 것이다. PP센터 주문 매출 점유율은 전체 매출의 50%에 육박할 정도로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이에 온라인 매출 증가의 모멘텀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5개의 대형 PP센터를 2025년까지 70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롯데마트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다크 스토어 콘셉트의 ‘세미 다크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다. 온라인 배송을 위한 물류 효율화가 절실해지면서, 매장 일부 공간 또는 1개층 전체를, 온라인 상품 패킹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동화설비를 설치한 세미 다크 스토어로 전환한 것이다. 최근에는 그룹사 통합 온라인몰, 롯데온을 출범시키며 롯데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 롯데프레시의 오프라인 중심 유통구조를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한편, 기존 오프라인 매장들을 물류거점으로 꾸준히 전환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온·오프라인을 결합한 올라인(all-line) 유통모델을 구축해 대응하고 있다. 이미 점포 내 창고와 차량 입출차공간을 온라인 물류센터로 탈바꿈한 홈플러스는 2018년 인천 계산점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풀필먼트센터’라는 이름으로 다크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노하우와 인프라를 바탕으로 점포 인근에 위치한 고객에게 오후 2시까지 주문하면 당일에 물건을 배달해주는 당일배송 서비스, 여기서 확대해 오후 7시까지 받은 주문을 자정까지 배달해주는 세븐오더 서비스 등을 운영하고 있다.

새로운 배송 만들어낸 다양한 유형의 다크 스토어


그리고 약간 변형된 모습이지만, 새로운 서비스를 가능케하고 그로 인해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유형의 다크 스토어도 있다. 오프라인 매장이 당연하게 생각되는 백화점도 한 예다. 현대백화점은 바로 투홈 서비스를 통해 즉석조리식품을 주문 1시간 내에 배송지로 직접 배달해주는데,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이동형 마이크로 풀필먼트센터’를 통해서다. 도심형 물류창고라 불리는 이 차량은 콜드체인 시스템을 갖춘 전기트럭이다.

이커머스업계의 다크 스토어 진출도 눈에 띈다. 스타트업으로, 신선식품 새벽배송 서비스를 시작한 오아시스마켓은 동종업계에서는 드물게 흑자 행진을 이어나가 주목받고 있다. 이들은 물류센터를 역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온라인 새벽배송을 하고 남은 물량을 처리하기 위해 오히려 오프라인 매장을 새로 오픈하며, 보관창고 없이 오직 매대 진열과 할인판매를 통해 폐기율을 줄이고 있다.

배달앱 투톱인 배달의민족과 요기요도 각각 ‘B마트’와 ‘요마트’라는 도심 내 다크 스토어를 구축해 대형마트는 물론이고 동네 편의점까지 위협할 만큼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미 우위를 구축한 배달앱 시장에서 빠른 배송까지 강점으로 더하며 퀵커머스(퀵+이커머스)의 절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파른 성장세를 보며 다크 스토어의 미래를 어둡게 바라보는 이들도 있긴 하다. 아무리 온라인 쇼핑이 고도화된다 하더라도 온라인이 오프라인 매장의 고객 경험과 동일한 수준을 구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에 팬데믹이 진정되고 다시 오프라인 소비가 늘어나면, 오프라인 진열대에 그 자리를 점차 양보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다.

하지만 일시적 트렌드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더 크다. 아무리 비중이 줄어들더라도 다크 스토어는 시장상황과 소비패턴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좋은 옵션이 될 수 있음을 이미 증명했기 때문이다. 이에 코로나19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요인에 의해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질 때마다 다크 스토어는 그 존재감을 과시하게 될 것이다.

2022.01.01

효율 올리고 매출 높이는 다크 스토어의 활약
비대면 및 온라인 쇼핑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유통업계 역시 폭증하는 온라인 소요에 다양한 형태로 대응하고 있다.
그 중 단연 돋보이는 현상은 ‘다크 스토어(dark store)’인데, 오프라인 매장 일부를
온라인 배송을 위한 전용공간이자 배송거점으로 활용해 재고 보관비용을 줄이면서도 배송은 더욱 빠르게 하는 것이다.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확장세가 다채롭게 펼쳐져 더욱 흥미로운 다크 스토어에 대해 살펴보자.
글. 편집실

다크 스토어가 빠른 시간 내 트렌드가 된 이유

다크 스토어는 무척 생소한 단어지만 유통시장에서 빠르게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고객이 온라인으로 주문한 상품을 빠른 시간 안에 받을 수 있도록 운영하는 물류거점을 뜻하는 다크 스토어는 배송 전용 매장이라 생각하면 쉽다.

이렇게 다크 스토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요인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코로나19가 불붙이고, 온라인 쇼핑이 폭발시켰다’라고 정리할 수 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온라인 유통 비중이 전례 없이 커지자 유통업계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대적인 수술을 가할 수밖에 없었다. 사람들로 북적이던 오프라인 매장은 점점 한산해지고, 온라인 주문은 폭발적으로 늘어 기존 물류센터 중심의 배송에 큰 부담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렇게 온라인으로 쏠림현상이 가속화되다 보니 온라인 주문물량을 감당하기 위한 물류창고 확장이 필요해진 반면, 막대한 운영비가 드는 대형 점포들은 엄청난 적자의 늪에 빠졌다.

이에 유통업계는 대형 매장들을 대거 폐점하거나 오프라인 매장의 면적 자체를 줄이는 대신 그 자리를 온라인 배송을 위한 일종의 지역형 물류창고로 쓰고 있다. 뛰어난 접근성이 강점이었던 오프라인 매장을 배송의 전진기지격으로 전용한 공간이 다크 스토어인 것이다. 그 덕에 물류센터 추가 설립비용은 줄이고, 소비자 접근성이 큰 입지 덕분에 배송시간은 단축하며, 폭발하는 온라인 수요에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됐다.

같은 듯 다른 국내 다크 스토어의 차별화 전략

국내 다크 스토어는 미국, 영국, 일본 등 세계적인 유통업계의 트렌드 일부를 국내 실정에 맞게 차용하거나 변형한 것이다. 국내 대형 유통사들은 온라인 주문량이 많은 지역에 위치한 매장을 우선적으로 다크스토어로 활용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반면, 각기 다른 차별화 전략을 통해 새로운 트렌드 선두를 선점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SSG닷컴의 PP센터, 롯데마트의 세미 다크 스토어, 홈플러스의 풀필먼트센터가 대표적이다.

우선 SSG닷컴은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와 고르고(pick) 포장(pack)하는 이른바 ‘PP센터’를 함께 운영하는 투트랙 전략을 쓰고 있다. 온라인몰 SSG닷컴의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인 ‘네오’가 있긴 하지만 3곳에 불과해 폭발하는 온라인 수요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SSG닷컴은 당일배송인 쓱배송 물량을 늘리기 위해 전국 이마트 매장 내 PP센터를 설치하고 있다. 네오는 새벽배송을, PP센터는 당일배송을 위한 거점으로 활용하려는 것이다. PP센터 주문 매출 점유율은 전체 매출의 50%에 육박할 정도로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이에 온라인 매출 증가의 모멘텀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5개의 대형 PP센터를 2025년까지 70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롯데마트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다크 스토어 콘셉트의 ‘세미 다크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다. 온라인 배송을 위한 물류 효율화가 절실해지면서, 매장 일부 공간 또는 1개층 전체를, 온라인 상품 패킹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동화설비를 설치한 세미 다크 스토어로 전환한 것이다. 최근에는 그룹사 통합 온라인몰, 롯데온을 출범시키며 롯데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 롯데프레시의 오프라인 중심 유통구조를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한편, 기존 오프라인 매장들을 물류거점으로 꾸준히 전환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온·오프라인을 결합한 올라인(all-line) 유통모델을 구축해 대응하고 있다. 이미 점포 내 창고와 차량 입출차공간을 온라인 물류센터로 탈바꿈한 홈플러스는 2018년 인천 계산점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풀필먼트센터’라는 이름으로 다크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노하우와 인프라를 바탕으로 점포 인근에 위치한 고객에게 오후 2시까지 주문하면 당일에 물건을 배달해주는 당일배송 서비스, 여기서 확대해 오후 7시까지 받은 주문을 자정까지 배달해주는 세븐오더 서비스 등을 운영하고 있다.

새로운 배송 만들어낸 다양한 유형의 다크 스토어

그리고 약간 변형된 모습이지만, 새로운 서비스를 가능케하고 그로 인해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유형의 다크 스토어도 있다. 오프라인 매장이 당연하게 생각되는 백화점도 한 예다. 현대백화점은 바로 투홈 서비스를 통해 즉석조리식품을 주문 1시간 내에 배송지로 직접 배달해주는데,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이동형 마이크로 풀필먼트센터’를 통해서다. 도심형 물류창고라 불리는 이 차량은 콜드체인 시스템을 갖춘 전기트럭이다.

이커머스업계의 다크 스토어 진출도 눈에 띈다. 스타트업으로, 신선식품 새벽배송 서비스를 시작한 오아시스마켓은 동종업계에서는 드물게 흑자 행진을 이어나가 주목받고 있다. 이들은 물류센터를 역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온라인 새벽배송을 하고 남은 물량을 처리하기 위해 오히려 오프라인 매장을 새로 오픈하며, 보관창고 없이 오직 매대 진열과 할인판매를 통해 폐기율을 줄이고 있다.

배달앱 투톱인 배달의민족과 요기요도 각각 ‘B마트’와 ‘요마트’라는 도심 내 다크 스토어를 구축해 대형마트는 물론이고 동네 편의점까지 위협할 만큼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미 우위를 구축한 배달앱 시장에서 빠른 배송까지 강점으로 더하며 퀵커머스(퀵+이커머스)의 절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파른 성장세를 보며 다크 스토어의 미래를 어둡게 바라보는 이들도 있긴 하다. 아무리 온라인 쇼핑이 고도화된다 하더라도 온라인이 오프라인 매장의 고객 경험과 동일한 수준을 구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에 팬데믹이 진정되고 다시 오프라인 소비가 늘어나면, 오프라인 진열대에 그 자리를 점차 양보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다.

하지만 일시적 트렌드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더 크다. 아무리 비중이 줄어들더라도 다크 스토어는 시장상황과 소비패턴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좋은 옵션이 될 수 있음을 이미 증명했기 때문이다. 이에 코로나19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요인에 의해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질 때마다 다크 스토어는 그 존재감을 과시하게 될 것이다.

NEWSLETTER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SCM 전문기업
현대글로비스의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