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보다 더 찬란한 우리의 문자



생각보다 더 찬란한
우리의 문자

한글의 우수성과 예술적 가치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저기서 들어보았을 것이다.
그런데 아는가? 그것이 우리만의 자아도취가 아니라는 사실.
한글의 가치는 알면 알수록 놀랍다. 이에 과학, 예술, 의미까지
모든 가치를 포함하고 있는 한글과, 그에 견줄 만한 세계의 언어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글. 편집실 / 참고. 『한글교양』 『바벨』 『언어의 역사』



한글 창제설, 과연 어떤 주장이 옳을까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 알고 있을 한글 창제 역사 속에도 여러 이야기들이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한글 창제의 주인공이 누구냐는 것이다. 오랜 시간 한글은,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의 합작품으로 알려졌지만, 가장 주목 받는 설은 ‘세종대왕 단독 창제설’이다.

세종 28년 『세종실록』엔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 28자를 지었는데, 그 글자가 옛 전자(篆字)를 모방하고 초성·중성·종성으로 나누어 합한 연후에야 글자를 이루었다’ 라고 나온다. 이는 당대 최고의 학자인 정인지의 입을 빌려서도 증명되는데, 『훈민정음』 해례본 「정인지서」에 ‘1443년 겨울에 우리 전하께서 친히 정음 스물여덟 자를 창제하여, 간략하게 예와 뜻을 적은 것을 들어 보여 주시며 그 이름을 훈민정음이라 하셨다’라고 적혀 있다.

또 다른 가설도 있다. ‘세종-문종 창제설’이다. 이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당뇨, 부종, 두통 등 온갖 질병을 앓았던 세종대왕이 혼자 한글을 창제하기는 힘들었을 것이란 근거를 댄다. 성삼문이 대표 집필한 『직해동자습』 서문에는 ‘우리 세종과 문종께서 이를 딱하게 여기시어 이미 훈민정음을 만드시니, 비로소 천하의 모든 소리를 다 기록하지 못할 것이 없게 되었다’라고 나온다.

이를 두고 세종대왕이 세자(문종)와 함께 한글을 창제했다는 의견과, 세자는 한글 창제를 보좌했을 뿐이란 의견, 세자뿐만 아니라 수양대군(세조)과 안평대군, 정의공주가 한글 창제의 숨은 공로자라는 의견도 나온다. 특히, 안평대군은 예술에 조예가 깊었고, 정의공주는 천문학에 능통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한글 창제의 일정 부분을 담당했을 것이란 주장이다.

그리고 갑자기 유명세를 탄 가설도 있다. 바로 ‘세종-신미대사 창제설’이다. 2019년 영화 <나랏말싸미>에는 세종대왕이 신미대사의 도움을 받아 한글을 창제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는데, 이는 역사왜곡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이에 감독이 나서 한글 창제에 얽힌 여러 설 중 하나에 영화적 상상력을 가미한 작품이라 밝혔으나, 당시 관객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이렇듯 하나의 사실에 여러 가설들이 나오는 이유는 위대한 업적에 대한 관심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정사보다는 야사가 재미있어, 후대로 갈수록 그럴듯한 상상력이 보태져 새로운 이야기로 탄생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한글, 단순하고 과학적이며 아름답다

‘조선에는 모든 소리를 자신들이 창제한 고유의 글자로 표기할 수 있는 완벽한 문자가 존재한다.’ 이는 고종의 헤이그 특사로 알려진 호머 헐버트 박사가 1889년 미국 『뉴욕트리뷴』에 기고한 글, ‘The Korean Language(조선어)’의 일부다. 그리고 이러한 한글에 대한 찬사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언어학자 로버트 램지는 ‘한글은 세계의 알파벳이며 한 나라를 뛰어넘어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세계의 선물’이라고 극찬했다.

이뿐인가. 독일의 한국학자 베르너 삿세 교수는 ‘서양이 20세기에 이룩한 음운이론을 훈민정음은 15세기에 보여줬으며, 훈민정음은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세계 최고의 문자’라며 칭송했고, 심지어 미국의 언어학자 제임스 매콜리 교수는 ‘세계의 위대한 유산이 탄생한 날을 찬양하고 휴일로 기념하는 것은 언어학자로서 당연한 일’ 이라면서 매년 10월 9일에 잔치를 벌였다고 한다.

이러한 한글의 우수성은 공식적으로도 인정받은 바 있다. 1997년 유네스코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을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지정했으며, 1990년부터 매년 9월 8일 (문맹퇴치의 날)에는 문맹을 없애는 데 뛰어난 공적을 쌓은 사람이나 단체에 ‘세종대왕 문맹퇴치상(King Sejong Literacy Prize)’을 주고 있다. 또 2012년 세계문자학회가 주관한 세계문자올림픽에서 한글은 금메달의 영예를 안기도 했다.

한글의 문화적 확장은 현재 진행 중

한글은 발음기관과 천지인(天地人)의 모양을 본떠 만든 독창적이면서 과학적인 문자다. 또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인 표음문자로, 24개 문자만 익히면 그것을 조합해 수많은 낱말을 만들어낼 수 있어 배우기도 쉽고 효율적이다. 그래서 지난 2009년 인도네시아 부톤섬 바우바우시는 지역 토착어 찌아찌아어를 표기할 공식문자로 한글을 도입했고, 인도에서도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했다.

한글은 문화예술의 소재로도 각광받고 있다. 지난 봄, 서울여대 시각디자인과 한재준 교수는 한글의 훌륭함을 조형적 관점에서 드러낸 작품을 전시했고, 정민세 도예가도 여주에서 변화무쌍한 한글의 매력을 도예작품에 접목해 선보였다.
작년에는 세계적으로 성공한 TV 시리즈 <스타트렉>의 작가 조 메노스키가 한글 창제기를 다룬 역사판타지소 설 『킹세종 더그레이트』를 출간하면서 “만약 유럽의 어느 지도자가 백성을 위해 글자를 만들었다면 전 세계가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그룹 BTS의 전 세계적 인기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거나 SNS에 직접 쓴 한글 가사를 올리는 팬들도 늘어나고 있다. 과학적으로도 예술적로도 그 가치 자체로도 인정받고 있는 한글은 이렇게 세계 1백여 나라에서 문화적 확장을 이뤄나가고 있는 중이다.



전 세계 언어 현황과 그것이 가진 위상


2005년 UN 조사에 따르면, 공식적으로 파악된 지구상 언어는 6,809개다. 국가의 수보다 언어가 더 많은 이유는 한 국가 안에서도 다양한 언어를 쓰는 경우가 있기 때문인데, 이 중 2,500개는 사용인구가 1천 명 이하로 줄어들고 있고, 5백여 언어는 사용자 50~60명 미만으로 소멸위기에 처해 있다. 또 이 중에서도 문자로 표현 가능한 언어는 1백여 개이며, 한글처럼 자음과 모음이 있는 건 18종류뿐이다. 이 18개 중에서도 로마문자가 변형된 사례를 제외한, 자기 나라 고유 문자는 한글, 한자, 로마, 아라비아, 인도, 에티오피아 문자까지 6개 뿐이다.

그리고 한국처럼 하나의 언어를 전 국민이 사용하는 나라도 드물다. 흔히 미국은 영어만 쓰는 것 같지만 스페인어도 많이 쓰이며, 인도에는 3~4개의 공용어가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파워풀한 언어인 영어에 대해 짧게 짚고 가자. 영어는 여러 언어에서 유래됐다. 1만 개 주요 영단어 중 45%는 프랑스어, 32%는 게르만어, 17%는 라틴어, 그 외 나머지는 기타 언어에서 유래됐다.

네덜란드의 언어학자인 가스통 도렌은 “영어가 전 세계 공용어가 된 이유는 정치적 지형변화와 이에 따른 다국적기업의 활약 때문”이라 말한다. 20세기 후반 냉전 종식 후 다국적기업이 제공하는 소비재와 텔레비전 쇼, 영화와 음악 등이 전 세계로 뻗어 나가면서 영어가 공용어의 위상을 확보하게 됐다는 것이다.

이렇듯 언어가 전 세계 국가의 경제적·정치적·문화적 위상과 힘을 반영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지금, 우리 한글이 점점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는 사실은 은근 뿌듯하지 않을 수 없다.

2021.10.01

생각보다 더 찬란한 우리의 문자
한글의 우수성과 예술적 가치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저기서 들어보았을 것이다.
그런데 아는가? 그것이 우리만의 자아도취가 아니라는 사실.
한글의 가치는 알면 알수록 놀랍다. 이에 과학, 예술, 의미까지
모든 가치를 포함하고 있는 한글과, 그에 견줄 만한 세계의 언어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글. 편집실 / 참고. 『한글교양』 『바벨』 『언어의 역사』

 

한글 창제설, 과연 어떤 주장이 옳을까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 알고 있을 한글 창제 역사 속에도 여러 이야기들이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한글 창제의 주인공이 누구냐는 것이다. 오랜 시간 한글은,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의 합작품으로 알려졌지만, 가장 주목 받는 설은 ‘세종대왕 단독 창제설’이다.

세종 28년 『세종실록』엔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 28자를 지었는데, 그 글자가 옛 전자(篆字)를 모방하고 초성·중성·종성으로 나누어 합한 연후에야 글자를 이루었다’ 라고 나온다. 이는 당대 최고의 학자인 정인지의 입을 빌려서도 증명되는데, 『훈민정음』 해례본 「정인지서」에 ‘1443년 겨울에 우리 전하께서 친히 정음 스물여덟 자를 창제하여, 간략하게 예와 뜻을 적은 것을 들어 보여 주시며 그 이름을 훈민정음이라 하셨다’라고 적혀 있다.

또 다른 가설도 있다. ‘세종-문종 창제설’이다. 이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당뇨, 부종, 두통 등 온갖 질병을 앓았던 세종대왕이 혼자 한글을 창제하기는 힘들었을 것이란 근거를 댄다. 성삼문이 대표 집필한 『직해동자습』 서문에는 ‘우리 세종과 문종께서 이를 딱하게 여기시어 이미 훈민정음을 만드시니, 비로소 천하의 모든 소리를 다 기록하지 못할 것이 없게 되었다’라고 나온다.

이를 두고 세종대왕이 세자(문종)와 함께 한글을 창제했다는 의견과, 세자는 한글 창제를 보좌했을 뿐이란 의견, 세자뿐만 아니라 수양대군(세조)과 안평대군, 정의공주가 한글 창제의 숨은 공로자라는 의견도 나온다. 특히, 안평대군은 예술에 조예가 깊었고, 정의공주는 천문학에 능통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한글 창제의 일정 부분을 담당했을 것이란 주장이다.

그리고 갑자기 유명세를 탄 가설도 있다. 바로 ‘세종-신미대사 창제설’이다. 2019년 영화 <나랏말싸미>에는 세종대왕이 신미대사의 도움을 받아 한글을 창제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는데, 이는 역사왜곡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이에 감독이 나서 한글 창제에 얽힌 여러 설 중 하나에 영화적 상상력을 가미한 작품이라 밝혔으나, 당시 관객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이렇듯 하나의 사실에 여러 가설들이 나오는 이유는 위대한 업적에 대한 관심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정사보다는 야사가 재미있어, 후대로 갈수록 그럴듯한 상상력이 보태져 새로운 이야기로 탄생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한글, 단순하고 과학적이며 아름답다

‘조선에는 모든 소리를 자신들이 창제한 고유의 글자로 표기할 수 있는 완벽한 문자가 존재한다.’ 이는 고종의 헤이그 특사로 알려진 호머 헐버트 박사가 1889년 미국 『뉴욕트리뷴』에 기고한 글, ‘The Korean Language(조선어)’의 일부다. 그리고 이러한 한글에 대한 찬사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언어학자 로버트 램지는 ‘한글은 세계의 알파벳이며 한 나라를 뛰어넘어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세계의 선물’이라고 극찬했다.

이뿐인가. 독일의 한국학자 베르너 삿세 교수는 ‘서양이 20세기에 이룩한 음운이론을 훈민정음은 15세기에 보여줬으며, 훈민정음은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세계 최고의 문자’라며 칭송했고, 심지어 미국의 언어학자 제임스 매콜리 교수는 ‘세계의 위대한 유산이 탄생한 날을 찬양하고 휴일로 기념하는 것은 언어학자로서 당연한 일’ 이라면서 매년 10월 9일에 잔치를 벌였다고 한다.

이러한 한글의 우수성은 공식적으로도 인정받은 바 있다. 1997년 유네스코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을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지정했으며, 1990년부터 매년 9월 8일 (문맹퇴치의 날)에는 문맹을 없애는 데 뛰어난 공적을 쌓은 사람이나 단체에 ‘세종대왕 문맹퇴치상(King Sejong Literacy Prize)’을 주고 있다. 또 2012년 세계문자학회가 주관한 세계문자올림픽에서 한글은 금메달의 영예를 안기도 했다.

한글의 문화적 확장은 현재 진행 중

한글은 발음기관과 천지인(天地人)의 모양을 본떠 만든 독창적이면서 과학적인 문자다. 또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인 표음문자로, 24개 문자만 익히면 그것을 조합해 수많은 낱말을 만들어낼 수 있어 배우기도 쉽고 효율적이다. 그래서 지난 2009년 인도네시아 부톤섬 바우바우시는 지역 토착어 찌아찌아어를 표기할 공식문자로 한글을 도입했고, 인도에서도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했다.

한글은 문화예술의 소재로도 각광받고 있다. 지난 봄, 서울여대 시각디자인과 한재준 교수는 한글의 훌륭함을 조형적 관점에서 드러낸 작품을 전시했고, 정민세 도예가도 여주에서 변화무쌍한 한글의 매력을 도예작품에 접목해 선보였다.
작년에는 세계적으로 성공한 TV 시리즈 <스타트렉>의 작가 조 메노스키가 한글 창제기를 다룬 역사판타지소 설 『킹세종 더그레이트』를 출간하면서 “만약 유럽의 어느 지도자가 백성을 위해 글자를 만들었다면 전 세계가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그룹 BTS의 전 세계적 인기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거나 SNS에 직접 쓴 한글 가사를 올리는 팬들도 늘어나고 있다. 과학적으로도 예술적로도 그 가치 자체로도 인정받고 있는 한글은 이렇게 세계 1백여 나라에서 문화적 확장을 이뤄나가고 있는 중이다.

 

전 세계 언어 현황과 그것이 가진 위상

2005년 UN 조사에 따르면, 공식적으로 파악된 지구상 언어는 6,809개다. 국가의 수보다 언어가 더 많은 이유는 한 국가 안에서도 다양한 언어를 쓰는 경우가 있기 때문인데, 이 중 2,500개는 사용인구가 1천 명 이하로 줄어들고 있고, 5백여 언어는 사용자 50~60명 미만으로 소멸위기에 처해 있다. 또 이 중에서도 문자로 표현 가능한 언어는 1백여 개이며, 한글처럼 자음과 모음이 있는 건 18종류뿐이다. 이 18개 중에서도 로마문자가 변형된 사례를 제외한, 자기 나라 고유 문자는 한글, 한자, 로마, 아라비아, 인도, 에티오피아 문자까지 6개 뿐이다.

그리고 한국처럼 하나의 언어를 전 국민이 사용하는 나라도 드물다. 흔히 미국은 영어만 쓰는 것 같지만 스페인어도 많이 쓰이며, 인도에는 3~4개의 공용어가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파워풀한 언어인 영어에 대해 짧게 짚고 가자. 영어는 여러 언어에서 유래됐다. 1만 개 주요 영단어 중 45%는 프랑스어, 32%는 게르만어, 17%는 라틴어, 그 외 나머지는 기타 언어에서 유래됐다.

네덜란드의 언어학자인 가스통 도렌은 “영어가 전 세계 공용어가 된 이유는 정치적 지형변화와 이에 따른 다국적기업의 활약 때문”이라 말한다. 20세기 후반 냉전 종식 후 다국적기업이 제공하는 소비재와 텔레비전 쇼, 영화와 음악 등이 전 세계로 뻗어 나가면서 영어가 공용어의 위상을 확보하게 됐다는 것이다.

이렇듯 언어가 전 세계 국가의 경제적·정치적·문화적 위상과 힘을 반영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지금, 우리 한글이 점점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는 사실은 은근 뿌듯하지 않을 수 없다.

NEWSLETTER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SCM 전문기업
현대글로비스의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