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의 능력을 어떻게 발휘해야 할까?



내 안의 능력을
어떻게 발휘해야 할까?

리더십과 팔로워십의 조화

리더에겐 리더십이, 팔로워에겐 팔로워십이 요구된다. 하지만 리더와 팔로워가 나눠져 있지 않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소규모 프로젝트에선 같은 동료들 중 하나가 리더가 될 수 있고, 잘 모르는 분야에 투입될 땐 리더도 팔로워의 역할을 해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능력을 어디에서 어떻게 발휘하면 될까? 그 애매하고 궁금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글. 편집실 / 일러스트. 박지연

대통령에게도 정해진 자리는 없다

몇 해 전, 백악관 상황실에서 군사작전회의가 열렸다. 상황실에는 국방부장관과 합참의장, 그리고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까지 정부와 미군의 주요 인사들이 자리해 있었는데, 여기서 상석을 차지한 사람은 대통령이 아니었다. 오히려 대통령은 귀퉁이에 앉아 있었고, 상석에는 가장 말단에 속하는 마샬 웹 준장이 앉았다. 우리나라 군대도 그렇지만 미군 역시 최고계급은 별 4개, 대장이다. 그러나 통상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은 대장보다 높은 계급으로 인정된다. 그런데 계급체계를 목숨처럼 중시하는 군에서 별 하나짜리 준장이 대장보다 높은 대통령을 밀어내고 상석을 차지한 이유는 무엇일까?

2011년 5월, 미군은 9.11 테러의 주범으로 알려진 오사마 빈 라덴을 제거하기 위한 대테러작전에 착수했다. 투입된 네이비 씰 대원의 헬멧과 어깨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작전상황이 실시간으로 전송됐고, 상황실에서는 화면을 보며 작전을 총괄 지휘했다. 여기서 마샬 웹 준장이 등장한다. 그는 바로 그 경험이 있는 인물로, 특수 작전지휘에 가장 탁월한 능력을 보유한 전문가였다. 이에 당시 대통령이었던 오바마는 그의 그런 능력을 높게사 기꺼이 지휘권을 상징하는 상석을 내어주고, 자신은 곁에서 그가 리더십을 발휘하는 모습을 묵묵히 지켜보며 지지를 보냈던 것이다.

리더와 팔로워들,피라미드에서 내려오다

과거, 리더와 팔로워는 위아래로 나뉜 피라미드의 위층과 아래층에 머물면서, 리더는 항상 위에서 군림하고, 팔로워는 아래에서 복종해야 하는 것이 상식이었다. 리더는 팔로워를 좀 더 치밀하게 관리 감독하기 위해 노력하고, 팔로워는 호시탐탐 리더가 있는 윗층으로 올라갈 기회를 노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시대가 변했다. 새로운 세대가 등장했고 시대정신과 사회문화도 변모하면서, 수직적 조직은 점차 무너지고 수평적 조직이 대세인 시대가 됐다. 당연히 층의 위아래에 있던 리더와 팔로워들은 같은 층의 이쪽 저쪽에 머물면서 뚜렷한 구분이 되지 않는 상황이다. 섞일 수 없는 계층으로 인식되던 리더와 팔로워가 해당 상황에서의 역할과 기능으로 구분되는 시기를 살게 된것이다. 그래서 이제는 그동안의 리더십, 팔로워십과는 다른 새로운 역할과 영향력에 대해 고민해봐야 한다. 그렇다면 상황에 따라 모두가 리더가 될 수도 또 팔로워가 될 수도 있는 시대에서 리더와 팔로워에겐 각각 어떤 덕목들이 필요할까?

첫째, 리더에겐 열린 사고와 유연한 태도, 팔로워에겐 과감한 태도가 필요하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말이 있다. 그러나 바뀐 시대에선 그렇지 않다. 사람이 자리를 만든다. 변하지 않는 확고부동한 리더의 자리, 부하의 자리라는 것은 이제 존재하지 않는다. 이제는 계급이나 지위와 상관없이 해당 과업을 가장 잘 수행해낼 수 있는 사람이 언제라도 해당 프로젝트의 리더가 될 수 있는 시대다. 앞서 오바마 대통령이 마샬 웹 준장에게 자리를 내준 것처럼 리더는 해당 과업을 중심으로 가장 잘 할 수 있는 이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아량과 배려가, 팔로워는 기회가 왔을 때 리더를 배려하면서도 적극적으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자신감과 배포가 필요하다.


둘째, 리더는 육성능력이,팔로워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계층으로 나뉘던 기존에는 리더는 리더로서 해야 할일만, 팔로워는 팔로워로서 챙겨야 할 일만 잘 챙기면 아무런 문제없이 조직이 운영됐다. 그러나 더불어 일을 하면서 이제는 상황에 따라 리더가 팔로워처럼, 팔로워가 리더처럼 일을 해야 한다. 이에 리더의 중요한 책무는 팔로워가 언제라도 자신과 같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길러내는 것이고, 팔로워의 책무는 아무 때라도 기회가 주어지면 리더로서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다. 인재사관학교로 유명한 P&G의 경우, 아무리 능력이 뛰어난 리더라 하더라도 자신의 자리를 즉시 대체할 팔로워를 길러놓지 않으면, 차기 보직으로 승진을 시켜주지 않을 정도다.


셋째, 리더와 팔로워 모두에게 역지사지의 공감능력이 필요하다

미 해군의 신화적 존재로 숭앙 받는 니미츠 제독은 자신의 부대관리 성공비결을 “소위에게는 중위, 중령에게는 대령이 챙겨야 할 일을 상상하게 하고, 이를 토대로 부대를 지휘하도록 끊임없이 기회를 제공했던 것”이라 말했다. 함께 어울려 업무를 수행하며 서로 간에 시너지를 창출해내기 위해서 팔로워는 자기가 맡고 있는 과업에만 머물던 시야를 넓혀, 리더가 조직 전반에 대해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를 상상해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역으로 리더는 팔로워가 어떤 문제가 있는지,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서로의 처지에서 생각해보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상황에 따라 적합한 모습으로 변신하라

Leadership, Followership에 붙는 ship이라는 단어는 고대 게르만어에서 ‘모양을 만들다’ ‘정하다’는 뜻의 접미사로 주로 쓰이던 skapaz에서 유래했다.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어떠한 직책, 역할, 직급의 사람을 뜻하는 단어나 자격, 신분 등을 나타내는 단어의 뒤에 붙어서, 그 사람 혹은 자격, 신분이 발휘하는 영향력의 수준이나 형태 등을 나타내고 있다. 조직에서는 리더십, 팔로워십 외에도 이 단어를 붙여 그에 걸맞은 역할과 영향력 발휘를 요구하곤 한다.

그중 하나가 바로 Linkership(링커십)이다. 링커십이란 조직의 허리 혹은 중간 역할을 하며 리더에게는 적극적인 참모 역할을, 팔로워에게는 리더가 미처 챙겨주지 못하는 부분을 챙겨주거나 학습시켜줘 조직역량 전체의 시너지를 증진시켜주는 능력을 말한다.

그렇다면 링커라는 계급은 또 따로 있는 것일까? 당연히 그렇지 않다. 그것은 조직 내 여러 사람들 중 적어도 중간에 있는 많은 이들이 해야 할 또 다른 역할일 뿐이다. 그래서 이 링커 역할을 맡는 사람들 역시 때론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때도 있고, 때론 팔로워십을 발휘해야 할 때도 있다.

공동의 목표 및 조직의 성공과 이를 통한 개인의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이렇게 그릇에 담기는 물처럼, 때와 장소에 맞춰 그에 적합한 모습으로 끊임없이 변화해야 한다. 리더도 때로는 팔로워처럼, 팔로워도 때로는 리더처럼. 혹은 그 두 역할을 조금씩 해내는 링커처럼 말이다. 그러한 변신이 가능할 때 그리고 그 역할을 제대로 인식하고 해낼 때 비로소 어떤 목표든 성장이든 이룰 수 있을 것이다.

2020.04.01

리더십과 팔로워십의 조화

리더에겐 리더십이, 팔로워에겐 팔로워십이 요구된다. 하지만 리더와 팔로워가 나눠져 있지 않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소규모 프로젝트에선 같은 동료들 중 하나가 리더가 될 수 있고, 잘 모르는 분야에 투입될 땐 리더도 팔로워의 역할을 해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능력을 어디에서 어떻게 발휘하면 될까? 그 애매하고 궁금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글. 편집실 / 일러스트. 박지연

대통령에게도 정해진 자리는 없다
몇 해 전, 백악관 상황실에서 군사작전회의가 열렸다. 상황실에는 국방부장관과 합참의장, 그리고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까지 정부와 미군의 주요 인사들이 자리해 있었는데, 여기서 상석을 차지한 사람은 대통령이 아니었다. 오히려 대통령은 귀퉁이에 앉아 있었고, 상석에는 가장 말단에 속하는 마샬 웹 준장이 앉았다. 우리나라 군대도 그렇지만 미군 역시 최고계급은 별 4개, 대장이다. 그러나 통상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은 대장보다 높은 계급으로 인정된다. 그런데 계급체계를 목숨처럼 중시하는 군에서 별 하나짜리 준장이 대장보다 높은 대통령을 밀어내고 상석을 차지한 이유는 무엇일까?

2011년 5월, 미군은 9.11 테러의 주범으로 알려진 오사마 빈 라덴을 제거하기 위한 대테러작전에 착수했다. 투입된 네이비 씰 대원의 헬멧과 어깨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작전상황이 실시간으로 전송됐고, 상황실에서는 화면을 보며 작전을 총괄 지휘했다. 여기서 마샬 웹 준장이 등장한다. 그는 바로 그 경험이 있는 인물로, 특수 작전지휘에 가장 탁월한 능력을 보유한 전문가였다. 이에 당시 대통령이었던 오바마는 그의 그런 능력을 높게사 기꺼이 지휘권을 상징하는 상석을 내어주고, 자신은 곁에서 그가 리더십을 발휘하는 모습을 묵묵히 지켜보며 지지를 보냈던 것이다.
리더와 팔로워들,피라미드에서 내려오다
과거, 리더와 팔로워는 위아래로 나뉜 피라미드의 위층과 아래층에 머물면서, 리더는 항상 위에서 군림하고, 팔로워는 아래에서 복종해야 하는 것이 상식이었다. 리더는 팔로워를 좀 더 치밀하게 관리 감독하기 위해 노력하고, 팔로워는 호시탐탐 리더가 있는 윗층으로 올라갈 기회를 노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시대가 변했다. 새로운 세대가 등장했고 시대정신과 사회문화도 변모하면서, 수직적 조직은 점차 무너지고 수평적 조직이 대세인 시대가 됐다. 당연히 층의 위아래에 있던 리더와 팔로워들은 같은 층의 이쪽 저쪽에 머물면서 뚜렷한 구분이 되지 않는 상황이다. 섞일 수 없는 계층으로 인식되던 리더와 팔로워가 해당 상황에서의 역할과 기능으로 구분되는 시기를 살게 된것이다. 그래서 이제는 그동안의 리더십, 팔로워십과는 다른 새로운 역할과 영향력에 대해 고민해봐야 한다. 그렇다면 상황에 따라 모두가 리더가 될 수도 또 팔로워가 될 수도 있는 시대에서 리더와 팔로워에겐 각각 어떤 덕목들이 필요할까?

첫째, 리더에겐 열린 사고와 유연한 태도, 팔로워에겐 과감한 태도가 필요하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말이 있다. 그러나 바뀐 시대에선 그렇지 않다. 사람이 자리를 만든다. 변하지 않는 확고부동한 리더의 자리, 부하의 자리라는 것은 이제 존재하지 않는다. 이제는 계급이나 지위와 상관없이 해당 과업을 가장 잘 수행해낼 수 있는 사람이 언제라도 해당 프로젝트의 리더가 될 수 있는 시대다. 앞서 오바마 대통령이 마샬 웹 준장에게 자리를 내준 것처럼 리더는 해당 과업을 중심으로 가장 잘 할 수 있는 이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아량과 배려가, 팔로워는 기회가 왔을 때 리더를 배려하면서도 적극적으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자신감과 배포가 필요하다.

둘째, 리더는 육성능력이,팔로워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계층으로 나뉘던 기존에는 리더는 리더로서 해야 할일만, 팔로워는 팔로워로서 챙겨야 할 일만 잘 챙기면 아무런 문제없이 조직이 운영됐다. 그러나 더불어 일을 하면서 이제는 상황에 따라 리더가 팔로워처럼, 팔로워가 리더처럼 일을 해야 한다. 이에 리더의 중요한 책무는 팔로워가 언제라도 자신과 같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길러내는 것이고, 팔로워의 책무는 아무 때라도 기회가 주어지면 리더로서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다. 인재사관학교로 유명한 P&G의 경우, 아무리 능력이 뛰어난 리더라 하더라도 자신의 자리를 즉시 대체할 팔로워를 길러놓지 않으면, 차기 보직으로 승진을 시켜주지 않을 정도다.

셋째, 리더와 팔로워 모두에게 역지사지의 공감능력이 필요하다

미 해군의 신화적 존재로 숭앙 받는 니미츠 제독은 자신의 부대관리 성공비결을 “소위에게는 중위, 중령에게는 대령이 챙겨야 할 일을 상상하게 하고, 이를 토대로 부대를 지휘하도록 끊임없이 기회를 제공했던 것”이라 말했다. 함께 어울려 업무를 수행하며 서로 간에 시너지를 창출해내기 위해서 팔로워는 자기가 맡고 있는 과업에만 머물던 시야를 넓혀, 리더가 조직 전반에 대해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를 상상해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역으로 리더는 팔로워가 어떤 문제가 있는지,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서로의 처지에서 생각해보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상황에 따라 적합한 모습으로 변신하라
Leadership, Followership에 붙는 ship이라는 단어는 고대 게르만어에서 ‘모양을 만들다’ ‘정하다’는 뜻의 접미사로 주로 쓰이던 skapaz에서 유래했다.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어떠한 직책, 역할, 직급의 사람을 뜻하는 단어나 자격, 신분 등을 나타내는 단어의 뒤에 붙어서, 그 사람 혹은 자격, 신분이 발휘하는 영향력의 수준이나 형태 등을 나타내고 있다. 조직에서는 리더십, 팔로워십 외에도 이 단어를 붙여 그에 걸맞은 역할과 영향력 발휘를 요구하곤 한다.

그중 하나가 바로 Linkership(링커십)이다. 링커십이란 조직의 허리 혹은 중간 역할을 하며 리더에게는 적극적인 참모 역할을, 팔로워에게는 리더가 미처 챙겨주지 못하는 부분을 챙겨주거나 학습시켜줘 조직역량 전체의 시너지를 증진시켜주는 능력을 말한다.

그렇다면 링커라는 계급은 또 따로 있는 것일까? 당연히 그렇지 않다. 그것은 조직 내 여러 사람들 중 적어도 중간에 있는 많은 이들이 해야 할 또 다른 역할일 뿐이다. 그래서 이 링커 역할을 맡는 사람들 역시 때론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때도 있고, 때론 팔로워십을 발휘해야 할 때도 있다.

공동의 목표 및 조직의 성공과 이를 통한 개인의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이렇게 그릇에 담기는 물처럼, 때와 장소에 맞춰 그에 적합한 모습으로 끊임없이 변화해야 한다. 리더도 때로는 팔로워처럼, 팔로워도 때로는 리더처럼. 혹은 그 두 역할을 조금씩 해내는 링커처럼 말이다. 그러한 변신이 가능할 때 그리고 그 역할을 제대로 인식하고 해낼 때 비로소 어떤 목표든 성장이든 이룰 수 있을 것이다.

NEWSLETTER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SCM 전문기업
현대글로비스의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